관리자 | 2019-09-02 23:02:27
[2019 찾아가는 SW 캠프] 강화도 - 선원초/강화중/강화여고
[2019 찾아가는 SW캠프] 지역: 강화도 초중고등학교 학생 대상 캠프 학교: 선원초등학교, 강화중학교, 강화여자고등학교(1,2/3학년반) 캠프기간 : 2019.7.29~31 수업 내용 선원초등학교 : 메이키메이키, 스크래치 강화중학교: 마이크로비트 강화여고 1,2학년 : 릴리패드 아두이도 강화여고 3학년 : 파이썬 워드클라우드 2박 3일동안 배운 프로그래밍 경험을 바탕으로, 스스로 나만의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면서 소프트웨어가 갖는 다양한 의미를 탐구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갖었습니다 :) [2019 찾아가는 SW캠프] 영상 [찾아가는 SW캠프] 영상
관리자 | 2018-12-20 19:22:54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 발전 공로자 수상 - 고려대학교 SW교육봉사단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 발전 공로자 수상 고려대학교 SW교육봉사단 2018 소프트웨어(SW)교육 성과발표회 및 시상식이 12월 20일에 열렸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필수화 기반 마련 및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성과공유 및 관련 유공자와 입상자의 시상 및 격려를 목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고려대학교 소프트웨어 교육봉사단은 초중고등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다양한 행사를 통하여 소프트웨어에 대한 인식과 진입장벽을 낮추는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창의력과 사고력을 키우고, 미래와 만나는 SW교육을 위한 고려대학교 소프트웨어 교육봉사단의 다양한 활동을 기대해주세요.
관리자 | 2018-10-25 21:22:24
[경북교육청] 학교·학생 맞춤형 SW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인정 도서 개발
연구개요 연구제목: 학교·학생 맞춤형 SW교육과정 운영 지원을 위한 인정 도서 개발 지원기관: 경북교육청 연구기간 : 2018. 06. 28 ~ 2019. 02. 26 연구의 목표 SW교육 관련 다양한 선택과목 운영을 통해 희망하는 학생에게 충분한 SW교육 제공 학교의 자율적인 교육과정 편성을 통해 학교 중심의 SW교육 활성화 기반 마련 근거 2018년 학교 학생 맞춤형 SW교육과정 운영 지원 계획 개발 대상 도서 학교 및 학생의 희망을 고려하고, 단위학교의 맞춤형 SW교육 활성화 지원을 위한 '창의융합코딩' 교과서 및 지도서 제작(각 1부) 체제 및 내용 2015 개정에 따른 교과(정보) 교육과정과 인정기준 등을 준거로 하여 교육과정에 적합한 도서 개발 중학교 정보교과 영역 중에 프로그래밍 분야에서 내용 구성
관리자 | 2018-10-15 15:46:08
[한국과학창의재단,EBS] 2018 SW교육 페스티벌
InC 연구실의 SW교육 봉사단 팀은 '언제나, 어디에나, 누구나, 바로 나, SW교육!'이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된 2018 SW교육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피지컬컴퓨팅 체험, Viscuit을 활용한 코딩교육, SW 진로 진학 상담을 진행하였습니다. 행사개요 일시 : 2018.10.12(금)~2018.10.13(토) 장소 : 부산 벡스코 제2전시장 4C~4F홀 주최/주관 : 교육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부산광역시교육청/한국과학창의재단, EBS 피지컬컴퓨팅 체험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메이키메이키 소개 및 활용 프로그램 체험 Viscuit을 활용한 SW교육 나만의 컴퓨터 만들기, Viscuit 소개 및 간단한 예제 해결하기, Viscuit으로 애니메이션 만들기 등
관리자 | 2018-09-13 13:18:1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용 콘텐츠 관리체계 및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개요 연구제목 : 교육용 콘텐츠 관리체계 및 가이드라인 개발 지원기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연구기간 : 2018. 06. ~ 2018. 09.30. 연구의 목적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하는 통합적 교육 콘텐츠 관리 체계 개발을 위함 - 편의성 : 교육콘텐츠의 분류 체계 마련으로 학습편의성 증대 - 효과성 : 단일화된 개발 가이드 라인 제공으로 공급 효과성 증대 - 통합유통 : 콘텐츠 개발 표준화를 통한 공공/민간 콘텐츠의 통합적 활용도 활성 - 공공활용 : 저작권법에 위배되지 않는 콘텐츠 제공 방안 마련 - 콘텐츠관리 : 전문가 활용으로 품질검증 지침을 마련하여 콘텐츠관리 - 운영 : 품질결과보고서 양식 제공을 통한 콘텐츠 관리 및 운영 효율 증대 연구의 배경 지능 정보사회의 도래 : 제 4차 산업혁명으로 다양산 산업에서 융합으로 새로운 플랫폼 창조 직업구조의 다양화 : 지능정보사회의 도래에 따른 미래직업의 변화와 미래인재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콘텐츠의 분산유통 : 다양한 플랫폼 시장에서 공공·민간의 양질 콘텐츠가 생산·유통되고 있으나 통합적으로 고나리 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 부재 연구의 내용 온라인 평가 시스템 체제(안) 정립 가. 교육용 콘텐츠 유통체계 관련 사례 및 제도 조사 나. 교육용 콘텐츠 통합관리체제 수립 다. 교육용 콘텐츠 개발 가이드라인 수립 라. 교육용콘텐츠 품질관리지침 수립
관리자 | 2018-09-12 23:44:0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개별맞춤화 교육 기반의 온라인 평가 체제 연구
연구개요 연구제목 : 개별맞춤화 교육 기반의 온라인 평가 체제 연구 지원기관 :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 연구기간 : 2018. 05.17. ~ 2018. 08.31. 연구의 목적 미래교육 환경 변화에 대비한 맞춤화 교육 기반의 온라인 평가 체제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및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 방향을 제안하기 위함 연구의 필요성 지식 전달의 교육에서 역량 증진의 교육으로의 '교육 목적의 변화'가 요구됨 결과 중심의 평가에서 과정 중심 평가로의 '국내외 평가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추세임 지필평가(Paper Based Test)에서 컴퓨터 기반 평가(Computer Based Test)로의 '평가 방법'이 변화하는 추세임 연구의 내용 온라인 평가 시스템 체제(안) 정립 가. 국내외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비교·분석 - 한국 외 8개국 교육과정 관련자료 분석 - 8개국: 일본, 인도, 핀란드, 미국, 싱가포르, 뉴질랜드, 호주 나. 과정중심평가 사례 분석 다. 온라인평가 시스템 사례 분석 (PISA 협력적 문제해결력, SBA, J-CAT, 정보활용능력, 애리조나 eAdvisor, 드림플랫폼 등 라. 총 3번의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 진행 마. 온라인 시스템 품질요소 분석(KANO 분석 진행)
관리자 | 2018-09-09 23:05:00
[한국과학창의재단] 초등교육 연계 및 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중등교원양성기관 대상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연구개요 연구제목 : 초등교육 연계 및 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중등교원양성기관 대상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지원기관 :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기간 : 2018. 07. 16 ~ 2018. 11. 30 연구의 목표 초.중등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SW연계 활성화 방안을 제안함 중등 융합교육 관련 교육과정과 학생 프로그램 현황 분석을 통해 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SW교육과정 개발(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임 - 교육과정(안) : 부전공 이수 수준 결정 _ 7개 필수과목, 5개 선택과목 도출 - 프로그램(안) : 교직 이수 수행 수준 _ 기초과목 3개 도출 중등 SW교육, SW융합교육을 위해 중등교원양성기관의 인프라 환경을 분석하여 융합교육, 참여중심교육 가능 여부를 제안함 연구의 필요성 정보기술에 의한 사회 변동을 배경으로,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성을 함양하는 교육에 대한 요구의 확대 세계 각국의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 및 문제를 융합교육 강화를 통해 대처하는 추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중학교 SW교육 필수화에 대비하여 예비교원의 SW교육 역량 강화에 대한 필요성 제시 연구의 내용 SW교육 역량 검사도구 개발 가. 국내외 융합교육 정책 및 사례 분석을 통해 융합교육 분석을 위한 범위 정립 나. 융합교육 교육과정(안) 개발 및 SW교육 연계 활성화 방안 - 초등 교원양성대학교 12개교 및 중등 교원양성대학 8개교의 SW교육 연계 현황 분석 다. 중등 과학·수학·정보 융합교육 관련 학생 프로그램 제안 라. 중등 SW교육, SW 융합교육의 가능 여부 제시를 위한 인프라 환경 분석
관리자 | 2018-08-29 16:35:33
[SSS 2018] 일본 정보처리학회의 학회 참여
일본 정보처리학회 정보교육심포지움(Summer Syposium in front of Shiranui-sea 2018) (☞ 제목 클릭시, 학회 웹사이트로 링크 되며, 학술대회 프로그램 및 논문의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 시 : 2018년 8월 19일 (일) 13:25 ~ 8월 21일(화) 12:00 장 소 : 湯の児 海と夕やけ(umitoyuyake) 주 최 : 情報処理学会(정보처리학회 컴퓨터교육 연구회:CE), 教育学習支援情報システム研究会(교육 학습 지원 정보 시스템 연구회:CLE) 공동주최 : 情報処理学会 情報処理教育委員会(정보처리학회 정보처리 교육위원회) 후 원 : 文部科学省(문부과학성), 熊本県教育委員会(구마모토현 교육위원회),全国高等学校情報教育研究会(전국 고등학교 정보 교육 연수회) 학회 주요 프로그램 : - 초대강연1(초중학교의 프로그래밍 교육의 과제:紅林 秀治(静岡大学) - 초대강연2(VUI, Chatbot, Analytics와 Moodle:喜多敏博(熊本大学)) - 워크숍(정보 입시의 '사고력을 도모 문제'를 만들어 보자:久野 靖(電気通信大学))- 학술논문발표 :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 증진을 위한 평가, 프로그래밍 교재,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과학/수학 등 타과목에서 프로그래밍 활용, 디지털 교재, 정보보안, 프로그래밍 실행 환경, LMS 관련 등에 관한 구어/포스터 발표 ■ 발표 논문 :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Informatics Education in 2017 저 자 : Hosung Woo, Jamee Kim(Korea University), Jeonghee Seo(KERIS), Yong Kim(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Hyeji Yang, Minjeong Kim, Heejeong Choi and Wongyu Lee(Korea University) - 우호성, 김자미, 서정희, 김용, 양혜지, 김민정, 최희정, 이원규(교신저자) 발표자 : Hosung Woo 발표세션 :セッション4 座長:西田 知博(大阪学院大学)
관리자 | 2018-08-29 14:09:40
[찾아가는 SW캠프] 전라북도 익산 초중고등학교 학생 대상
[찾아가는 SW캠프] 지역: 전라북도 익산 초중고등학교 학생 대상 캠프 학교: 춘포초등학교, 이일여자중학교, 이일여자고등학교, 이리고등학교 캠프기간 : 2018.8.1~2018.8.3 개요 지난 8월 1일 수요일부터 3일 금요일까지, 고려대학교 정보대학과 고렫학교 SW중심대학사업단이 주관하고 고려대학교 정보창의교육연구소가 후원하는 ‘2018학년도 찾아가는 소프트웨어 캠프’가 진행되었습니다. 전라북도 익산에 위치한 춘포초등학교, 이일여자중학교, 이일여자고등학교, 이리고등학교에서 SW캠프 신청자를 대상으로 하였습니다. 쉽게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 앱인벤터, 파이썬을 활용하여 다양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만들어봄으로써 소프트웨어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 나아가 컴퓨팅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습니다. 춘포초등학교 활동 춘포초등학교에서 ‘게임창작으로 배우는 SW’라는 주제로 SW캠프를 진행하였습니다. 학생들은 스크래치를 통해서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 수 있다는 부분에 흥미를 느끼고 적극적으로 수업에 임하였습니다. ‘똥 푸기’ 게임을 함께 만들어보면서 스크래치의 기본적인 개념을 익히고, ‘똥 피하기’ 등 자신만의 개성 있는 게임을 만들어 발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습니다. 캠프가 시작되기 전에는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여 낯설어하던 학생들도 있었지만, SW캠프를 진행하면서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어보고 친구들 앞에서 발표하면서 프로그래밍에 대한 자신감이 생겼다고 하였습니다. 이일여자중학교, 이일여자고등학교 활동 이일여자중학교와 이일여자고등학교에서는 ‘앱 개발로 배우는 SW’라는 주제로 SW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스마트폰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앱을 만들어볼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습니다. 앱인벤터를 활용한 ‘고양이 울음소리’와 ‘초대장 만들기’ 실습으로 프로그래밍의 기초개념과 문법을 배우고, 중학생은 ‘무당벌레 게임’, 고등학생은 ‘안드로이드 게임’을 통해 앱을 제작하고 스마트폰에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마지막 날에는 자신이 기획하고 만든 앱을 친구들 앞에서 발표하는 것으로 마무리하였습니다. 수업을 시작할 땐, 처음 접하는 학생들이 낯설어하기도 했지만 다양한 예제를 통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흥미뿐만 아니라 향후 학습 의지를 얻을 수 있었다고 답하였습니다. 이리고등학교 활동 이리고등학교에서는 ‘프로그램 개발로 배우는 SW’라는 주제로 SW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파이썬을 활용하여 다양한 모듈을 사용해보면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였습니다. 실생활 또는 자신의 관심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필요한 모듈을 찾아 적용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대학교에 관한 이야기와 진로에 관한 이야기 등을 자유롭게 나눠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찾아가는 SW캠프] 영상 [찾아가는 SW캠프] ...
관리자 | 2018-07-04 20:55:53
[교수님 인터뷰] 대입에 컴퓨터 과목 반영해야
[교수님 인터뷰]대입에 컴퓨터 과목 반영해야(동아일보 오피니언 2018.7.3.) 이원규 교수(고려대학교 정보대학장)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제조업의 자동화를 넘어 정보기술(IT)을 통한 초연결의 세상으로 변화를 이끌고 있다. 여기에서 핵심 키워드는 소프트웨어다. 그러나 한국은 관련 인력 부족 및 유출로 변화의 동력 자체를 잃고 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은 이제 특정 학문 분야에만 국한된 게 아니다. 분야에 관계없이 정보, 데이터를 다룰 수 있어야 변화에 대처할 수 있다. 세계 각국은 이미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 강화를 시작했다. 인재 양성은 교육을 통한 전문 기능인 배출만을 고려한 것이 아니다. 미래 구성원 모두 기술을 활용하고 새로운 기기를 전공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팅 사고력을 키우는 교육을 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와 컴퓨팅 사고력 육성은 모든 학생이 갖춰야 할 필수 역량으로 초등학교 때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해야 한다. 영국과 인도는 대학 교육만으로는 부족한 인재를 양성하기 어렵다는 절박함으로 초등학교 1학년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하고 있다. 이스라엘, 독일도 고교 졸업시험에 소프트웨어 과목을 배치했다. 미국은 2016년 이전보다 강화된 형태로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을 제시했다. 일본은 지난해 발표한 학습지도요령을 통해 초등학교 1학년부터 컴퓨팅 사고력을 키우는 것을 강조했다. 올해 5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이 시대의 읽기, 쓰기, 계산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정보기술(IT)과 정보처리의 소양”이라고 말했다. 한국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초등학교 6년(17시간), 중학교 3년(34시간) 소프트웨어를 필수 교과목으로 지정했다. 51시간의 교육으로 초등학교 1학년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하는 다른 나라를 능가하는 국가경쟁력을 확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사고력의 강화는 개인이 희망하는 일에 종사할 때 해당 분야에서 정보를 활용해 생산력을 증대시키는 데 기여한다. 일본은 새로운 성장전략을 검토하는 미래투자회의에서 소프트웨어 인력 부족을 지적하고 2021년 대학입시 시험과목으로 프로그래밍을 다루는 ‘정보’ 과목 추가를 추진하고 있다. 독일, 이스라엘은 이미 관련 과목을 입시에 반영하고 있다. 각국은 좀 더 적극적이고 공격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초중등 교육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강화하고 입시에 반영하는 방안을 논의해야 할 때다. http://news.donga.com/3/all/20180703/90869351/1
관리자 | 2018-04-12 11:47:00
[교수님 인터뷰] 디지털 시대의 소프트웨어 교육의 부상(Rise of software education amid the digital era)
[교수님 인터뷰]디지털 시대의 소프트웨어 교육의 부상(Rise of software education amid the digital era). The World On arirang : InsideBiz_TV Archive(2017.08.17). 4차 산업혁명 시대, 소프트웨어 혁신이 시작된다. 우리 삶을 편리하게 만들어 주는 모든 것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IoT, 인공지능 등도 소프트웨어가 기반이 되어 있다. 그 중 핵심 기술로 손꼽히는 코딩이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교육방법으로 활용되면서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우리나라도 내년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이 의무화, 필수화된다. 그 이유는 산업 전반에 소프트웨어 비중이 커지면서 다양한 영역에서 활약할 창의적인 인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미래사회의 중심이 될 소프트웨어 교육과 관련 산업의 성장을 살펴본다. Ami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oftware education has grown in significance and it has led to the paradigm shift in the education field. Every part of our lives is connected to softwar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has also been developed based on the advanced software development process. Coding has grabbed a lot of attention as i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needed for the software education. Software education will be compulsory from next year, in order to cope with such changing trends. It is to foster creative manpower that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oftware which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On Smart Korea, we look into the growth of the software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play a key role in the future society. 이원규 교수(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Lee Won-gyu (Professor.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교수님 인터뷰 내용 * 이원규 : 코딩은 실제 경험에 직접 연결됩니다. 우리가 실전 경험에 참여하지 않는 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
관리자 | 2018-03-07 20:26:24
[연구실 세미나] 일본의 정보교육 참조기준, 정보마이닝
일본의 정보교육 참조기준 세미나 세미나의 목적 : 일본의 정보교육 참조기준을 살펴보고, 정보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 마련 참여자: 김자미 교수님, 교육과정 관련 연구하는 학생 세미나기간 : 2018. 01.~ 2018. 02. 정보마이닝 세미나 세미나의 목적 : 정보마이닝의 개념 및 원리, 연구에서의 활용 예를 살펴보고, 연구 목적에 맞는 정보마이닝 방법에 대한 논의 참여자 : 연구실 학생 세미나 기간 : 2017.12.~현재 기타 : 신입생 세미나 세미나의 목적 : INC 연구실의 연구 분야(논문, 프로젝트 등)에 대한 소개 및 논의 참여자 : 연구실 신입 학생 세미나 기간 : 주 1회, 5주
관리자 | 2018-03-07 17:57:12
[한국대학교육협의회]'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 표준교육과정 개정(컴퓨터과학)' 프로젝트 진행
연구개요 연구제목: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 표준교육과정 개정 지원기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연구기간 : 2018. 01. 19 ~ 2018. 02. 28 연구의 목표 고교-대학 연계 심화(University-Level Program. 이하, UP)의 컴퓨터과학 교과 교육과정 개발 : 컴퓨터과학Ⅰ, 컴퓨터과학Ⅱ, 데이터과학 연구의 필요성 2007년 표준교육과정이 개발된 이후의 교육 환경 변화가 교육과정에 반영되어 있지 않음 현 컴퓨터과학 교과를 개정하여 학생의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교육 효과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필요 소프트웨어 교육 내용 추가를 통해 고교-대학 간의 학문 내용의 연계 강화 교과의 학문적·시대적 흐름을 반영한 교육과정 개정 필요 연구의 내용 UP(컴퓨터과학) 교육과정 개발 1) 고등교육과정 표준의 분석프레임에 맞춰 대학의 컴퓨터과학 교육과정 현황 분석 : 미국-CC2001, CS2008, CS2013, 일본-J07(CS, 교양, 부전공) 2) 한국의 UP와 미국의 AP(Advanced Placement), 유럽의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비교·분석 3) 각국의 최근 개정된 고등학교 교육과정 분석 : 한국, 미국, 일본, 영국 4) 도출된 시사점으로 전문가 협의회 및 설문 진행
관리자 | 2018-03-07 17:56:54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초·중등 SW교육 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프로젝트 진행
연구개요 연구제목: 초·중등 SW교육 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지원기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기간 : 2017. 06. 15 ~ 2017. 12. 20 연구의 목표 학교 현장의 SW교육 교수·학습 활동이나 SW역량 증진 관련 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 마련 SW교육 역량 데이터 수집 관리 활용 체제 구축의 기초 마련 SW교육 역량 진단 체제 구축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제시 연구의 필요성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정의된 SW교육 관련 역량의 정의 미흡 SW교육 관련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 연구의 내용 SW교육 역량 검사도구 개발 가. SW교육에서 추구하는 학생의 핵심(역량) 재정의 나. SW역량 검사 도구 프레임 구축 다. SW역량 검사도구 개발 라. SW교육 역량 진단 및 측정 시스템 개발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
관리자 | 2018-03-07 17:52:5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7년 SW교육 연구학교 현황 및 효과성 분석 연구' 프로젝트 진행
연구개요 연구제목: 2017년 SW교육 연구학교 현황 및 효과성 분석 연구 지원기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기간 : 2017. 04. 17 ~ 2017. 12. 15 연구의 목표 SW교육의 효과 증진을 위한 시사점 도출 및 정보교육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정책 제언 SW교육정책 수립과 SW교육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되는 지표 제공 연구의 필요성 SW교육 연구학교에 대한 SW교육 효과성 분석 및 학교 현장에서의 정보 교육 안착을 위한 토대 구축 연구의 내용 학생들의 SW교육 효과 측정·분석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이하,CT) 기반 문제해결과정 검사 학생, 교사, 학부모의 SW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 실시 SW교육 현황 조사 및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