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학술지
국내 학술지
양혜지, 김자미, 이원규 (2020). 초등교원의 SW교육 역량 추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9), 1357-1378.
이원규, 김자미 (2020). AI융합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개발. 한국융합인문학, 8(3), 29-52.
김미정, 김자미, 이원규 (2020). 일본의 교양 정보교육과정 표준 분석을 통한 한국 대학의 교양 정보교육에 대한 시사점.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3(4), 13-22.
김미정, 김자미, 이원규 (2020). 대학원 데이터 과학자 과정 입학 평가 체계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3(3), 49-58.
우호성, 이현정, 김자미, 이원규 (2020). SW중심대학의 인공지능 교육과정 현황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3(2), 13-20.
양혜지, 김자미, 이원규 (2020).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의 수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 185-202.
김민정, 김자미, 이원규 (2019). 일반계 고등학교의 정보 과목 운영현황 분석. 창의정보문화연구, 5(3), 225-236.
김자미, 김경회,이원규 (2019). 일본의 안전촉진학교 모델 분석.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5(8), 29-41.
김자미, 이원규 (2019). 정보과 수업 설계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이해’와 교육목표분류학의 6단계 비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3), 25-35.
이재영, 김자미, 이원규 (2019). 텍스트 기반 프로그램 평가에서 부분점수 구성에 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2), 30-38.
안영희, 김자미, 우호성, 양혜지, 김민정, 정다윤, 이원규 (2019). 초등 예비교원을 위한 교양수준의 정보교육과정(안)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1), 21-30.
최희정, 이원규, 김자미 (2019). 독일 바이에른 주의 정보 교육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1), 1-10.
양혜지, 이원규, 김자미 (2018). 정보‧컴퓨터교사 임용시험과목 출제경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2), 11-19.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정보과 핵심역량에 관한 검사도구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2), 49-58.
장혜주, 김자미, 이원규 (2018). 여고생들의 미래 직업과 연계된 정보과목에 대한 인식 분석. 컴퓨터교육학괴 논문지, 21(2), 21-29.
최희정, 김자미, 이원규 (2018). 해외 고등학교 정보 교육 검사도구의 비교 분석 .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1), 31-42.
양혜지, 김자미, 이원규 (2018). 해외 정보 교육과정에서 정보문화소양 관련 내용 요소 분석 .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1), 1-10.
김민정, 이원규, 김자미 (2017). 컴퓨팅사고력 측정에 사용되고 있는 도구 분석을 통한 새로운 검사도구 개발방향 제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6), 17-25.
김자미 (2017). 해외의 교원양성 체제 비교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5), 49-59.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 (2017). CS2013에 근거한 국내외 고등학교 정보교육과정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6(8), 411-418.
안영희, 김자미, 이원규 (2017). 한국의 중등 정보.컴퓨터 교사양성 교육과정과 J07-CS 교육과정의 비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4), 37-46.
김자미, 이원규 (2017). 2016년에 공표한 일본의 학습지도요령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구성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4), 1-14.
유병건, 김자미, 이원규 (2017). CS2013 지식영역의 계량화를 통한 컴퓨터과학 영역별 우선순위 설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3), 25-33.
양혜지, 김자미 (2017). 교육대학원의 중등 정보교사 양성 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 현황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2), 23-34.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 (2017). 해외 고등정보 표준교육과정 기반의 국내 대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0(1), 17-38.
노현아, 이원규 (2016). 한·일 고등학생 대상으로‘정보’관련 문항을 통한 수준 측정 및 비교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6), 1-14.
김자미, 이원규 (2016). 교육과정 총론의 문서 체제에 나타난 고등학교 정보과 교육과정의 변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5), 27-40.
김자미, 이원규 (2016). 한일간 교사양성제도의 비교 및 현황 분석을 통한 중등 정보교사 양성제도 개선방안.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3), 35-53.
유병건, 김자미, 이원규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컴퓨팅 시스템 단원의 집필에 대한 시사점.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2), 31-40.
안영희, 김자미, 이원규 (2016). 메타학문인 정보학을 모태학문으로 하는 교과 "정보".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3), 1-10.
엄기순, 장윤재, 김자미, 이원규 (2016). 중등 정보교육의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보드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2), 41-50.
심재권, 이원규, 권대용 (2016). 초중등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텐지블 프로그래밍 성취도 차이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1), 19-26.
김자미, 이원규 (2016). CSTA 2003과 2011 비교를 통한 한국의 정보교육과정 표준에 대한 시사점.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1), 41-51.
윤일규, 김자미, 이원규 (2015). 창의적 정보과학교육이 학부모와 초등학생의 정보과학교육에 관한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5), 15-24.
김자미, 구양미, 이원규 (2015). 영국의 FutureLearn과 프랑스 FUN이K-MOOC에 주는 시사점과 전망. 비교교육연구, 25(4), 293-320.
김자미, 이원규 (2015). 평등과 수월성을 고려한 중국의 정보교육과정.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8(2), 11-20.
심재권, 이원규, 권대용 (2015). LED 기반 텐지블 프로그래밍 도구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1), 31-43.
김자미, 이원규 (2014).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6), 59-69.
심재권, 이원규, 김자미 (2014). 초등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로봇 시뮬레이션 도구의 활용. 한국디지털융합학회, 12(5), 425-433.
유병건, 김자미, 이원규 (2014). 학습자 특성이 프로그래밍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5), 15-24.
김용천, 장윤재, 윤일규, 김자미, 이원규 (2014). 게임 요소 기반의 객체지향 개념 학습에 대한 수업 사례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5), 1-13.
김자미, 이원규 (2014). 통합에서 독립으로, 이스라엘 컴퓨터과학 교과의 진화.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4), 33-44.
김자미, 이원규 (2014).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7(3), 53-63.
곽소아, 권대용, 이원규 (2014). 초등정보영재의 동기와 부모지지에 따른 창의적 산출물 성취도 차이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3), 41-51.
노현아, 정인기, 이원규 (2013). 교육대학교 신입생 대상 ICT 리터러시 능력 측정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277-290.
이승진, 김자미, 이원규 (2013). 초·중학생의 영재분야에 따른 ICT 리터러시 능력 수준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2), 69-78.
유병건, 김자미, 이원규 (2012). 성별에 따른 프로그래밍 성취도와 문제해결과정의 관계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6), 1-10.
김민선, 김한성, 이원규 (2012). 정보윤리판단력 측정을 위한 이슈 중심의 딜레마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4), 15(4), 13-24.
아오키히로유키, 심재권, 김자미, 이원규 (2012). 스케치 기반 로봇 시뮬레이션 도구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2), 57-66.
노현아 ,김자미 ,이원규 (2012). IT 유창성의 관점에서 대학 교양과정의 정보교육 내용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1), 41-49.
김용천, 김자미, 이원규 (2012).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활동지를 사용한 성찰에 대한 사례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1), 21-31.
김자미, 심재권, 김지민, 이원규, 박두순 (2012). 중학교 ‘정보’ 교과서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구성의 탐구적 경향 분석. 정보처리학회논문지, 19(1), 9-16.
김자미, 장윤재, 이원규 (2011). 중학교 ‘정보’ 교과 ‘정보사회와 정보기술’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7), 3022-3029.
김자미, 이원규 (2011). 교과교육과정 조정(Alignment)의 관점에서 본 중학교 ‘정보’교과서의 목표와 평가의 일치도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4(3), 129-155.
심재권, 김자미, 이원규 (2011). 초등 영재의 정보과학교과 수행능력과 영재성 간의 관계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3), 365-373.
김자미, 노현아, 이원규 (2011). 현대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본 ‘정보’교과서 ‘정보기기’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3), 1-12.
김자미, 윤일규, 이원규 (2011). 정보 교육과정 내용요소와 교과서의 일치성 분석. 중등교육연구, 59(2), 381-414.
김자미, 박정호, 이원규 (2011). 초등교사의 저작권 지식수준 분석을 통한 교육정보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241-251.
장윤재, 김자미, 이원규 (2011). EPL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문제해결 수준이 프로젝트 완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6), 41-51.
최지영, 장윤재, 김자미, 유승욱, 이원규 (2011). 중등 정보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 인식수준에 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1), 23-30.
국내 학술대회
이태근, 김자미, 우호성, 이원규 (2018). 교육용 콘텐츠의 자유이용 라이선스 현황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1), 105-107.
김성희, 김자미, 이원규 (2018). 앱인벤터 프로젝트 평가 루브릭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1), 15-16.
정다윤, 김자미, 양혜지, 이원규 (2018). 미국의 고교-대학 연계 심화과정 컴퓨터과학 운영 현황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1), 23-25.
김민정, 김자미, 이원규 (2018). 학습지원을 위한 온라인 교육 플랫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3(1), 31-33.
이태근, 김자미, 이원규 (2018). 정보교과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측정 가능성에 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2), 171-174.
최희정, 김자미 (2018). 고등학생 대상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단계에 따른 평가 결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2), 107-110.
김민정, 김자미, 정치훈, 이원규 (2018). 대학생이 인식하는 고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2(2), 35-37.
우호성, 김자미, 이원규 (2017). 한국 고등정보교육 개선 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2), 103-105.
이학용, 우호성, 김자미 (2017). 생활 속 문제해결을 위한 프로그래밍과 피지컬 컴퓨팅 경험 사례.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1(1), 15-18.
노현아, 이원규 (2016). 미래 대학입시를 위한 정보교육 개선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 109-111.
장윤재, 이원규 (2016). 2015년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정보 교과에 포함된 피지컬 컴퓨팅 교육 목표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 101-104.
유병건, 김자미, 이원규 (2016). 프로그래밍 교육 향상을 위해 컴파일러 로그 활용 방안 제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 47-49.
이원규 (2016). 한국 교육의 위기와 정보교육.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 113-116.
안영희, 김자미, 이원규 (2016). 피지컬컴퓨팅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지원 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 105-107.
심재권, 이원규 (2016). 초중등 학부모의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만족도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 17-19.
엄기순, 이원규 (2015). Track 2 피지컬 컴퓨팅 교육 :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보드 디자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9(2), 35-38.
이은정, 이원규, 김자미 (2014). Track 1 컴퓨터교육 : 객체지향 개념 학습을 위한 정보 교육과정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9-12.
윤일규, 이시내, 이원규 (2014). Track 4 융합교육 : 루시드 차트를 활용한 추상화 수업 설계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8(2), 93-96.
유병건, 이원규 (2014). Track 1 컴퓨터교육 : 자기주도 학습에 따른 정보 교과서의 탐구적 경향성.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18(2), 17-20.
장윤재, 윤일규, 이원규 (2014). 스마트기기 활용 로봇 프로그래밍 활동 개발.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1), 241-242.
졸업논문
우호성 (2020). 전문용어 기반 컴퓨터과학 지식체계 구축 시스템. 박사학위논문, .(-), 146.
장윤재 (2018). 학교 교육에 적합한 피지컬 컴퓨팅 교육용 보드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 115p.
심재권 (2017). 초등 정보교육을 위한 텐저블 유저 인터페이스 기반 프로그래밍 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 128p.
윤일규 (2016). 대학의 컴퓨터과학 분야 예비 신입생을 위한 프로그래밍 코스의 설계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 185p.
김종혜 (2009).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문제 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중등 교육 프로그램. 박사학위논문, .(-), 266p.
김용 (2008). 정보 영재를 위한 온라인 학습 도구 평가 준거 개발. 박사학위논문, .(-), 129p.
유승욱 (2008). 초·중등 정보교과 교육과정에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의 적용. 박사학위논문, .(-), 170p.
염용철 (2008). 정보교과에서 텍스추얼 교육용프로그래밍언어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환경. 박사학위논문, .(-), 109p.